서울 버스 3413

최근 편집일시 : (♥ 0)

||



파일:IMG_9702(3413_9575).jpg파일:3413_9573.png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일평균 승차인원
4.2. 노선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3413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3413 노선도.png[1]
[1] 위의 지도에는 일원터널을 경유하는 것으로 잘못 표시되었다. 실제로는 양방향 모두 삼성서울병원을 경유한다.
기점서울특별시 강동구 강일동(강동공영차고지)종점서울특별시 강남구 일원동(삼성서울병원정문)
종점
첫차04:20기점
첫차05:42
막차23:00막차00:23
평일배차8~10분주말배차토요일 10~12분 / 공휴일 11~14분
운수사명서울승합인가대수27대(예비 2대)[1][2]
노선강동공영차고지 - 미사강변루나리움17단지 - 하남고등학교 - 고덕리엔파크2.3단지 - 상일동역 - 강동아트센터.강동경희대병원 - 명일여자고등학교 - 명일역 - 굽은다리역.구민회관.홈플러스 - 길동역 - 둔촌동역 - 올림픽공원역 - 올림픽공원남2문 - 몽촌토성역.한성백제역 - 잠실역 - 석촌역 - 가락시장역 - 수서역 - 삼성서울병원정문 → 연금매점 → 대청역 → 래미안개포루체하임아파트 → 삼성서울병원정문 → 이후 역순


2. 개요[편집]


서울승합에서 운행하는 지선버스 노선으로, 총 운행거리는 43.3km다.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 구 813번[3] 도시형버스(강동공영차고지 - 수서경찰서)가 전신이다.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번호가 3413번으로 변경되었다.


  • 2017년 8월에 강동차고지에서 바로 상일동역으로 가지 않고, 미사2동 행정복지센터와 하남고를 거쳐 가는 안건에 대해 의견 조회를 받았다.관련 공문

  • 안건이 확정되어 2017년 9월 25일에 '강동공영차고지 - 고덕리엔파크1단지 - 해뜨는주유소 - 상일동역' 구간이 '강동공영차고지 - 강일초등학교 - 미사강변5.17단지 - 미사강변푸르지오.19단지 - 미사강변18단지.하남고 - 고덕리엔파크2.3단지 - 상일동역'으로 변경되었다.관련 공문, 노선 조정 안내문 서울승합이 하남시에 단독운행 노선[4]으로 진출한 것은 1007번(현 9301번) 이후 13년 만이다.

  • 운행거리가 길어진 것에 대한 후속조치로 2017년 10월 11일부터 첫/막차가 10분씩 앞당겨졌고, 대당 일 운행횟수도 감축되면서 평일 기준 총 운행횟수도 15회 감회되어 일부 시간대의 배차간격이 1분 가량 길어졌다.관련 공문

  • 2018년 9월 10일부터 평일과 토요일의 일 운행횟수가 3회 감회되었다(단, 공휴일 운행횟수는 현행 유지). 다만 배차간격에 생기는 변화는 거의 없을 것으로 보인다.관련 공문

  • 2022년 2월 4일을 기해 공휴일 운행 댓수가 1대 증편되었으며, 이에 따라 공휴일의 1일 총 운행횟수 역시 89회에서 94회로 5회 증회되었다. 다만 공휴일의 최소/최대 배차간격 자체는 변동 없이 유지될 예정이다.관련 공문

  • 2023년 5월 1일 강동공영차고지 - 미사강변도시 구간이 폐지되고 강동공영차고지 - 강일리버파크 - 강일동주민센터 -강동공영차고지 - 고덕리엔파크1단지 구간으로 변경, 상일동역 - 고덕평생학습관 구간이 상일동역 - 고덕초등학교 - 고덕역 구간으로 변경된다.


4. 특징[편집]


  • 동사에서 운행하는 노선들 중 340번 다음으로 승객이 많다. 명일동, 길동, 둔촌동, 오륜동(올림픽선수촌아파트)에서 잠실역으로 가는 수요가 많다. 그래서인지 올림픽공원역, 둔촌종합상가 정류장에서의 승하차가 많다. 단, 삼성서울병원 방향의 경우 잠실역 네거리에서 좌회전을 하기 위하여 8호선 측의 9번 출구에서 정차하여, 못 걸을 정도는 아니지만 2호선 측 출구인 8번 출구랑은 거리가 꽤 된다. 다만 강일동 방향의 경우는 잠실역 1번 출구에서 승차할 수 있다. 강일동 방향에 한해 잠실나루역을 경유한적도 있지만 현재는 두방향 모두 잠실역을 경유한다.

  • 수도권 전철 5호선의 지선구간인 길동역과 둔촌동역을 한 번에 이어 주는 유일한 노선이다. (길동역에서 둔촌동역까지 단 3정거장) 상일동(본선)에서 마천지선 방면으로 오갈때는 강동역에서 환승하는것보다 이 노선을 타면 더 빨리 도착할 수 있다.

  • 길동역 근처에는 각각 지나는 노선이 노선 하나밖에 없던 적이 있었다. 지금은 이 곳에서 회차하는 130번이 와주긴 한다. 바로 전 역인 굽은다리역은 여전히 이 노선뿐이었다가 2013년 3월 19일부터는 3321번이 추가되었고, 동년 9월에는 N30번, 2014년 말에는 2312번이 생겼다.

  • 차량외부 스티킹에는 회차지가 수서경찰서로 되어 있지만, 수서경찰서 정류장은 실제로는 없으며, 경찰서는 대청역 정류장에서 가깝다.

  • 미사강변도시 구간이 연장된 이래 2022년 현재까지 미사강변도시에서 가장 늦게까지 다니는 일반시내버스 노선이기도 하여,[5] 그 일대 주민들의 심야버스 역할도 맡고 있다. 막차가 수서역에서는 00:30경이고, 잠실역 / 둔촌동역 / 명일역 / 상일동역은 각각 00:45 / 01:00 / 01:15 / 01:25경에 통과한다.

  • 2021년 10월 5일 341번의 기존 하남시 구간이 단축된 뒤로는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중 최동단으로 운행하는 노선이 되었다.

  • 2018년에 전기버스가 투입되었다. e-화이버드 5대, 일렉시티 5대로 총 10대이다. 서울특별시 최초 e-화이버드가 이 5대중 한 대이다.


4.1. 일평균 승차인원[편집]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3413번
연도일평균 승차량전년대비 변동폭
2013년20,688명-
2014년20,213명▽ 475
2015년19,838명▽ 375
2016년19,212명▽ 626
2017년19,169명▽ 43
2018년18,380명▽ 789
2019년18,619명△ 239
2020년14,537명▽ 4,082
2021년13,937명▽ 600
※ 하차 인원 미포함


4.2. 노선[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3413번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회차
영희초등학교
23462
대청역
23397
래미안개포루체하임아파트
23489
공무원아파트
23359
-
연금매점
23362
삼성서울병원정문건너편 · 삼성서울병원정문
23387 · 23386
일원역
23388
-
일원본동주민센터
23384
일원본동주민센터
23381
시립수서청소년수련관
23450
수서삼성아파트앞
23380
수서119.안전센터앞
23385
태화기독교.사회복지관
23465
궁마을
23407
궁마을
23406
수서역.로즈데일빌딩
23410
수서역.KT수서지점
23404
문정2동주민센터.청소년수련관
24333
가락시장남문
24387
훼미리근린공원
24334
가락시장.가락몰
24386
가락시장.가락시장역
24009
가락시장.가락시장역
24385
송파역
24007
송파역
24008
석촌역
24005
석촌역
24006
석촌호수.한솔병원
24003
석촌호수.한솔병원
24004
잠실역1번.11번출구
24134
잠실역9번출구
24135
잠실진주아파트
24216
신천동진주아파트
24128
몽촌토성역.한성백제역
24396
몽촌토성역.한성백제역
24241
올림픽베어스타운아파트앞
24127
한성백제박물관
24233
올림픽공원남2문
24221
올림픽공원남2문
24240
올림픽공원장미광장
24222
올림픽공원장미광장
24239
올림픽선수촌아파트
24247
-
올림픽공원역
24245
올림픽공원역
24244
보성중고등학교
24243
보성중고등학교
24243
둔촌종합상가
25249
둔촌종합상가
25248
둔촌동역2번출구
25247
둔촌동역4번출구
25246
동명약국앞
25245
혜림교회앞
25244
예닮요양병원
25243
예닮요양병원
25242
길동역3번출구
25241
길동역1번출구
25240
천동초교입구사거리
25311
천동초교입구사거리
25312
십자성마을
25239
십자성마을
25238
굽은다리역구민회관.강동홈플러스
25349
굽은다리역구민회관.강동홈플러스
25348
굽은다리사거리
25237
굽은다리사거리
25236
명일역4번출구.명일전통시장
25235
명일역1번출구.명일전통시장
25234
명일1동주민센터
25267
명일1동주민센터
25266
명일여자고등학교
25265
명일여자고등학교
25264
고덕삼환.주공9단지아파트
25263
고덕삼환.주공9단지아파트
25262
한영중고한영외고
25261
명일동현대아파트
25260
강동아트센터.강동경희대병원후문
25179
강동아트센터.강동경희대병원
25178
강동경희대병원.명일동이마트
25277
고덕평생학습관.온조대왕체육관
25137
고덕주공2단지
25136
고덕주공2단지
25135
상일동역4번출구
25134
상일동역
25166
상일동역3번출구.고덕전통시장
25132
상일동역2번출구.고덕전통시장
25131
고덕리엔파크3단지.2단지
25343
고덕리엔파크2단지.3단지
25342
강일역3번출구[1]
미사강변18단지.하남고등학교
28298
동일하이빌,센트럴자이.하남고
28299
하남고등학교
28472
미사강변푸르지오.19단지
28287
미사강변푸르지오.19단지
28289
미사강변루나리움.17단지
28018
미사강변루나리움.17단지
28017
강일초등학교
25327
강일초등학교
25326
강일리버파크6단지 · 강동공영차고지
25317 · 25341

[1] 강일역 개통후 임시 신설된 임시정류소이다.


5. 연계 철도역[편집]




6. 둘러보기[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svg 경기도 진입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1, 2권역 | 의정부, 구리, 남양주

의정부시
수락리버
구리/남양주
201구리
202담터
1155담터
수락리버: 수락리버시티아파트 지역만 정차, 담터: 남양주방면 담터고개(구리시 소재)만 정차, 서울방면 담터고개는 서울시 소재.

3, 4권역 | 하남, 성남

성남시
하남시
341초이
370초이
3217위례
초이: 초이동 / 위례: 하남시위례도서관

4, 5권역 | 과천, 안양, 군포, 의왕

과천/안양/군포/의왕
과천/안양/군포
안양/군포
안양시 단독
152교대
6515교대
500석수
5618석수
과천시 단독
서초08잔디
서초20잔디
교대: 경인교육대후문만 정차 / 잔디: 잔디마을만 정차 / 의왕시 경유 노선은 군포시 한솔테크노타운만 정차

5, 6권역 | 광명, 부천
7권역 | 고양, 양주, 파주

고양시
동산동
덕은동
대덕동
파주/양주
704송추
773교하
774파주읍
9714교하
동산동: 한국지역난방공사(舊 동산동) 정류장만 정차 / 덕은동: 덕은동종점 정류장만 정차 / 대덕동: 대덕동행정복지센터 정류장만 정차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6-16 14:53:52에 나무위키 서울 버스 3413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예비차 2대 중 1대는 예비투입차량으로서, 평일/토요일에 한해 정상운행차량과 동일하게 운행한다.[2] 토요일 (예비투입 1대 포함) 21대 / 공휴일 19대 운행[3] 2002년 이전에는 813-2번이였다.[4] 3318번은 공동배차하는 노선이다.[5] 직행좌석버스까지 포함하면 9301번이 훨씬 더 늦다.[6] 일원본동주민센터 하차